📌 목차
약을 정리하다 보면 유통기한이 지난 약이 하나둘 나오기 마련이에요.
특히 감기약, 소화제, 연고 등은 한두 번 먹고 남긴 채로 오랫동안 서랍 속에 잠들어 있는 경우가 많죠.
이럴 때, 우리는 흔히 이런 생각을 해요.
“그냥 쓰레기통에 버리면 되겠지?”, “변기에 흘려보내도 되지 않을까?”
하지만 약은 그냥 버리면 안 되는 생활 폐기물이에요.
오늘은 유통기한이 지난 약, 안전하고 올바르게 버리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릴게요!
왜 약을 일반 쓰레기로 버리면 안 될까요?
약은 일반 쓰레기처럼 소각하거나 하수도로 흘려보낼 경우,
약 성분이 그대로 환경으로 유입되어 생태계를 오염시킬 수 있어요.
특히 항생제나 호르몬제 등은 하수처리 과정에서도 분해되지 않고
하천이나 바다로 유입될 수 있어요. 이는 물고기, 조류, 그리고 다시 인간에게까지 영향을 줄 수 있답니다.
또한, 어린이나 반려동물이 실수로 약을 주워 먹는 사고도 발생할 수 있으니,
무조건 안전하게 폐기하는 방법을 따라야 해요.
폐의약품, 이렇게 버리면 안전해요!
우리나라에는 ‘폐의약품 수거함’이 따로 마련되어 있어요.
약국이나 보건소에서 쉽게 찾을 수 있고, 요즘은 우체통을 통한 수거 방식도 도입되고 있답니다.
✅ 폐의약품 버리는 방법
- 약을 포장에서 꺼내세요.
약 봉투, 플라스틱 통, 설명서 등은 일반 쓰레기로 분리하고, 약 성분이 담긴 알약이나 시럽만 따로 보관해요. - 종류별로 구분해서 담아주세요.
알약, 시럽, 연고류는 별도로 분리해서 지퍼백이나 투명 용기에 담아주세요. - 수거 장소에 버리기!
가까운 약국, 보건소, 또는 폐의약품 스티커가 부착된 우체통에 넣으면 끝이에요.
우체통에도 폐의약품을 버릴 수 있어요?
최근엔 약국이나 보건소 방문이 어려운 분들을 위해
일부 지역 우체국 우체통에 ‘폐의약품 수거함’ 기능이 추가되었어요.
✅ 이용 방법은 아주 간단해요!
- 우체통에 ‘폐의약품 수거 가능’ 문구 또는 스티커가 있는지 확인해요.
- 분리 보관한 폐의약품을 봉투나 지퍼백에 밀봉한 후 우체통에 투입해요.
- 이후 우체국과 지자체가 협력해 전문적으로 수거·처리한답니다.
모든 우체통이 해당되는 건 아니니, 가까운 우체국 또는 지자체 안내를 먼저 확인해주세요!
폐의약품 수거함,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요?
- 동네 약국
- 보건소
- 지자체 청사
- 일부 우체국 우체통
간단히 찾는 방법은?
- 포털에서 ‘폐의약품 수거함 위치’ 검색
- 환경부 또는 지자체 홈페이지 확인
- 약국이나 우체국에 전화로 문의
자주 하는 질문 Q&A
Q. 시럽이나 액상 약도 수거함에 버릴 수 있나요?
A. 네, 가능합니다! 단, 뚜껑이 잘 닫히도록 밀봉해 주세요.
Q. 외국에서 산 약도 버릴 수 있나요?
A. 네. 국내에서 사용하지 않는 약도 폐의약품 수거 대상이에요.
Q. 한약이나 영양제도 포함되나요?
A. 일반적인 한약, 건강보조식품도 약 성분이 포함돼 있다면 수거 가능해요.
오늘 우리 집 약 서랍, 정리해볼까요?
정기적으로 약을 점검하는 건
내 건강을 지키는 습관이자, 지구 환경을 위한 배려예요.
오늘 한 번만 실천해보면,
그다음부터는 자연스럽게 ‘약 버리는 습관’이 생기게 될 거예요 😊
지금 우리 집 서랍 속, 오랫동안 방치된 약은 없으신가요?
혹시 있다면 오늘 바로 한 번 정리해보는 건 어떨까요?
약에 대해서 더 궁금한 정보가 있다면 아래 글도 참고해보세요 👇
👉 유통기한 지난 약, 먹어도 될까요?
👉 냉장고 보관 vs 실온 보관, 어떤 약이 더 오래갈까?
'📌 일상 > 💪 건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유통기한 지난 약, 먹어도 될까요? (0) | 2025.04.03 |
---|---|
직장인을 위한 현실적인 간헐적단식 실천법 (0) | 2025.03.28 |
간헐적 단식이란?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는 건강한 식사 습관 (0) | 2025.03.28 |
긴장성두통 vs. 편두통, 차이점과 효과적인 치료법! (2) | 2025.03.15 |
자석 파스 효과 200% 높이는 법! 사용법 & 주의사항 정리 (1) | 2025.03.13 |